최용현 작가의 티스토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최용현 작가의 티스토리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1126)
    • 행사 가족 문학활동 (111)
    • 에세이 및 콩트 (132)
    • 영화에세이 (231)
    • 삼국지 인물열전 (106)
    • 근교·모임 사진 (163)
    • 여행·산행 사진 (289)
    • 자료 동영상 해외 (94)

검색 레이어

최용현 작가의 티스토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영화에세이

  • 서초패왕

    2022.03.11 by 월산처사, 따오기

  • 비정성시

    2022.03.04 by 월산처사, 따오기

  • 소오강호

    2022.02.25 by 월산처사, 따오기

  • 가을날의 동화

    2022.02.17 by 월산처사, 따오기

  • 사랑의 스잔나

    2022.02.11 by 월산처사, 따오기

  • 13인의 무사

    2022.02.04 by 월산처사, 따오기

  • 용문객잔

    2022.01.29 by 월산처사, 따오기

  • 요짐보

    2022.01.21 by 월산처사, 따오기

서초패왕

서초패왕(西楚覇王) 최용현(수필가) 초한지는 진시황 사후의 혼란기에 일어선 군웅들 중에서 마지막까지 패권을 다툰 항우와 유방의 5년간의 대결을 그린 역사소설이다. 초한지를 다룬 영화로는 ‘서초패왕’(1994년)과 ‘초한지-천하대전’(2011년), 그리고 ‘초한지-영웅의 부활’(2012년)이 있는데, 세 편 모두 상당한 작품성을 지닌 수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초패왕’은 항우와 유방의 만남에서부터 승부가 갈리는 해하전투까지의 전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주고 있다. ‘천하대전’은 홍문연(鴻門宴)을 중심으로 모사 범증과 장량의 두뇌싸움에 초점을 맞춰 보여주고 있다. ‘영웅의 부활’은 승자인 한 고조 유방의 플래시백으로 이어지는 회고담이다. 초한지의 내용에 충실한 ‘서초패왕’을 다루고자 한다. 러닝 ..

영화에세이 2022. 3. 11. 19:00

비정성시

비정성시(悲情城市) 최용현(수필가) ‘비정성시(悲情城市)’는 영어제목 ‘A City of Sadness’가 말해주듯 ‘슬픔의 도시’라는 뜻으로, 대만의 허우 샤오셴 감독이 1989년에 연출한 영화이다. 중국어 영화로는 처음으로 베니스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고, ‘스크린’ 선정 20세기 100대 영화에서 5위를 차지했다. 에드워드 양 감독의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1991년), 차이밍량 감독의 ‘애정만세’(1994년)와 함께 대만 뉴웨이브의 3대 걸작으로 꼽힌다. 이 영화는 대만이 51년간의 일본 식민통치에서 해방된 1945년부터 장개석의 국민당이 모택동의 공산당에 패퇴하여 대만에서 임시정부를 수립한 1949년까지 4년 동안 대만에서 일어난 일을 임가네 네 아들의 행적을 통해 보여준다. ..

영화에세이 2022. 3. 4. 18:48

소오강호

소오강호(笑傲江湖) 최용현(수필가) 경비가 삼엄한 명나라 황궁의 서고(書庫)에 도둑이 침입하여 당대 최고의 무공비법이 수록된 규화보전을 훔쳐간다. 관리책임자인 내시총관은 은밀한 수사 끝에 최근에 근위대장직을 사임하고 낙향한 임진남을 범인으로 지목하고, 심복 구양전(장학우 扮)를 앞세워 그의 집을 포위한다. 이때 화산파의 수제자 영호충(허관걸 扮)이 사부 악불군의 명을 받고 사부의 딸인 사매(엽동 扮)와 함께 포위망을 뚫고 임진남을 찾아온다. 신변에 위협을 느낀 임진남은 영호충에게 집 안 물레방아 밑에 규화보전을 숨겨놓았다면서 이 사실을 자신의 아들 임평지에게 꼭 전해달라고 당부를 한다. 내시총관은 무예고수 좌냉선을 초빙하여 규화보전을 찾게 하는데, 좌냉선은 임진남이 실토하지 않자 임진남과 그..

영화에세이 2022. 2. 25. 11:27

가을날의 동화

가을날의 동화(秋天的 童話) 최용현(수필가)    ‘가을날의 동화’(1987년)는 홍콩의 대표적인 여성감독 장완정의 섬세하면서도 여성적인 감성이 잘 녹아있는 작품으로, ‘첨밀밀’(1996년)과 함께 홍콩멜로영화의 쌍벽을 이루는 걸작으로 꼽힌다. 2000년 가을에 KBS에서 방영된 한류 드라마 ‘가을동화’는 이 영화에서 제목을 차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콩의 최고스타 주윤발과 홍콩의 마릴린 먼로라고 불리던 종초홍이 알콩달콩 케미를 이어가는 스토리인데, 홍콩 금상장영화제 작품상과 각본상, 촬영상을 비롯하여 대만 금마장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에 개봉하여 젊은층, 특히 여성 관객들의 뜨거운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홍콩에서 사는 23세의 제니퍼(종초홍 扮)는 미국에서 유..

영화에세이 2022. 2. 17. 20:43

사랑의 스잔나

사랑의 스잔나(秋霞) 최용현(수필가)    어린 시절, 언니 추하가 치고 있던 장난감 피아노를 동생 추운이 뺏어서 바닥에 내동댕이치자, 놀란 추하가 그 자리에 쓰러진다. 방 원장에게 검진한 결과 추하는 선천성 심장병을 앓고 있었다. 며칠 뒤, 방 원장을 따라온 그의 아들 자량이 추하에게 인형을 선물하자, 샘이 많은 추운이 뺏어가 버린다. 아버지는 음악을 좋아하는 추하에게 피아노를 사 준다.   세월이 흐르고, 추하(진추하 扮)는 졸업공연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Graduation Tears(졸업의 눈물)’를 부른다. 부모님은 오셨는데, 추운(서희 扮)은 좋아하는 자량(종진도 扮)과 그의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느라 공연이 끝난 후에야 나타난다. 다음날 유람선 파티에서 추하는 친구의 사촌오빠인 국휘(이승룡 ..

영화에세이 2022. 2. 11. 09:59

13인의 무사

13인의 무사(13太保) 최용현(수필가) 중국무협영화의 인기가 절정에 달하던 1970년, 홍콩 쇼브라더스의 간판 장철 감독은 당시로서는 엄청난 스케일의 스펙터클 무협영화 연출에 도전한다. 장철 감독의 무협영화로는 드물게 러닝 타임이 120분이나 되는 ‘13인의 무사’는 쇼브라더스의 자본과 기술, 그동안 무협영화를 제작하면서 얻은 노하우까지 집대성하여 사운(社運)을 걸고 만든 대작이다. ‘13인의 무사’는 홍콩에서 만든 영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신 필름이 ‘13인의 검객’이라는 제목으로 제작 신고를 했기 때문에 한홍합작영화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에 한국배우 남궁훈과 진봉진이 출연한 것은 이들이 쇼브라더스에 초빙된 전속배우였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이런 위장 한홍합작영화는 계속 제작되었다. 1..

영화에세이 2022. 2. 4. 20:01

용문객잔

용문객잔(龍門客棧)최용현(수필가) 1960년대 중국무협영화의 전성시대를 연 효시(嚆矢)는 홍콩 쇼브라더스에서 제작한 호금전 감독의 ‘대취협(大醉俠, 1965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7년 ‘방랑의 결투’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의 주인공인 여성협객 정패패는 ‘와호장룡’(2000년)에서 주윤발에게 독침을 쏘는 푸른 여우로 나온다. ‘대취협’의 속편 ‘금연자(金燕子, 1968년)’는 우리나라에서 ‘심야의 결투’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어 큰 인기를 누렸다. 이 영화는 호금전 감독이 홍콩 쇼브라더스의 다작(多作) 스타일에 반기를 들고 대만으로 가버렸기 때문에 장철 감독이 연출했다. 이때 호금전 감독이 대만에서 연출한 영화는 ‘용문객잔(龍門客棧, 1967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용문의..

영화에세이 2022. 1. 29. 19:15

요짐보

요짐보(用心棒)  최용현(수필가)    ‘요짐보(用心棒)’는 일본의 거장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이 1961년에 연출한 흑백영화로, 그의 작품 중에서 최초로 해외에 수출된 시대극이다. 다국적 서부극 ‘레드 선’(1971년)에 나오는 일본의 국민배우 미후네 토시로가 주연을 맡았고,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개봉되었다. 요짐보는 경호원 혹은 보디가드를 의미하는 일본의 속어이다.   주인공 배우의 이름 미후네 토시로의 ‘토시’를 한자로 표시하면 민첩할 ‘민(敏)’ 자인데, 그는 이름 그대로 검을 상당히 민첩하게 다룬다. 잠시 숨을 멈추고 전광석화처럼 상대를 벤 후에 숨을 몰아쉰다. 그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불후의 명작들인 ‘라쇼몽’(1950년)과 ‘7인의 사무라이’(1954년), ‘요짐보’(1961년)의 속..

영화에세이 2022. 1. 21. 07: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9
다음
TISTORY
최용현 작가의 티스토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